본문 바로가기

제로 웨이스트

(198)
반복할수록 아름다워지는 소비, Baggu가 들려주는 에코의 미학 가방 하나가 바꾸는 습관의 리듬장을 보거나 택배를 받거나, 책을 들고 나갈 때마다 우리는 늘 무언가를 담는다. 이 동작은 너무 일상적이어서, 가방의 존재는 당연한 배경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그 익숙한 무심함 속에는 플라스틱 봉투, 과포장, 충동구매처럼 낭비를 유도하는 요소들이 숨어 있다. 미국에서 시작된 Baggu는 바로 이 일상의 틈을 새롭게 정의한다. “필요할 때마다 새로 꺼내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곁에 두고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가방.” Baggu의 철학은 단지 재사용을 말하지 않는다. ‘반복 가능하고 오래도록 예쁜 물건’이라는 새로운 소비의 태도를 제안한다. 에코백이라는 단어를 넘어서, 소비자의 습관 자체를 다시 디자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디자인에서 완성되는 지속 가능성Baggu가 처음 세상..
입에서 시작되는 지속가능성, Georganics가 다시 쓴 양치의 정의 치약이라는 일상의 고정관념양치는 가장 보편적인 루틴이다. 하루의 시작과 끝, 혹은 그 중간에도 우리는 늘 같은 방식으로 이를 닦는다. 뚜껑을 열고, 짜내고, 헹구고, 뱉는다. 수십 년간 반복된 이 행위는 의심의 여지 없이 자동화되어 있다. 그러나 Georganics는 이 자동화된 움직임 속에 ‘불필요한 것들이 너무 많다’고 말한다. 플라스틱 튜브에 담긴 치약, 인공 향과 미세 플라스틱이 섞인 페이스트, 한 달도 되지 않아 버려지는 칫솔들. 무엇 하나 의심하지 않은 채 지나쳐온 이 루틴은 사실, 환경에도 우리 몸에도 결코 무해하지 않다. Georganics는 바로 이 가장 기본적인 행위—‘입을 헹구는 그 순간’에서부터 제로 웨이스트를 시작하자고 제안한다. 그리고 그 변화는 의외로 아주 단순한 선택에서부터 ..
거품 뒤에 숨겨진 혁신, Tru Earth의 세탁 선언 세탁기 앞에 서면 늘 남는 찝찝함누구에게나 익숙한 일상 중 하나는 세탁이다. 세탁기 문을 열고, 옷을 넣고, 세제를 부으며 무심코 버튼을 누른다. 그러나 이 단순한 동작 속에는 늘 한 가지 의문이 따라붙는다. ‘내가 지금 너무 많이 쓰고 있는 건 아닐까?’ 넘치게 붓는 액체 세제, 남아 있는 플라스틱 병, 줄줄 새는 뚜껑, 손에 묻어나는 끈적함. 깨끗해지기 위한 행위에서 역설적으로 불편함과 죄책감이 함께 묻어난다. Tru Earth는 이 순간의 불일치를 정확히 포착했다. 캐나다에서 시작된 이 브랜드는 “정말 필요한 것만 남기자”는 철학 아래 세탁이라는 행위 자체를 다시 설계한다. 거창한 발명이 아니라, 너무나 단순한 형태의 전환. 액체에서 시트로, 플라스틱 병에서 종이 포장으로. 그렇게 Tru Earth..
식탁 위의 혁신, ZeroWasteClub이 만든 지속가능한 한 끼 무심코 펼쳐진 테이블 위, 눈에 보이지 않는 쓰레기들도시의 점심시간은 빠르다. 일회용 용기에 담긴 샐러드, 비닐 랩으로 감싼 샌드위치, 그리고 플라스틱 포크. 식사는 금세 끝나고, 남겨지는 것은 쓰레기뿐이다. 문제는 그 쓰레기들이 대부분 분해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플라스틱 랩, 스티로폼 용기, 일회용 커틀러리는 음식보다 오래 남아 바다로, 땅으로 흘러든다. ZeroWasteClub은 바로 이 문제에서 출발한다. 런던의 한 작은 아파트 부엌에서 시작된 이 브랜드는 ‘식사라는 일상적인 행위조차 환경에 무언가를 남긴다’는 점을 정면으로 마주했다. 그들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행위 중 하나인 ‘먹는다’는 행위에 제로 웨이스트라는 질문을 던졌고, 그 답을 직접 만들기 시작했다. 브랜드의 시작은 단순했다. 버려지..
도시의 속도를 담은 접이식 철학, Stojo의 가능성 컵 하나에 담긴 도시의 모순도시는 빠르다. 사람들은 이동하며 마시고, 소비하고, 버린다. 출근길 커피 한 잔, 회의 중 테이크아웃 음료, 산책 중 만난 주스 바. 도시의 시간은 늘 손에 들린 컵과 함께 움직인다. 그런데 그 순간들이 끝날 때마다, 남겨지는 것은 비워진 컵과 플라스틱 뚜껑이다. 편리함의 흔적이 곧 쓰레기가 되는 이 구조 속에서, Stojo는 불편할 정도로 명확한 질문을 던진다. “왜 매일 버려지는 컵을 쓰고도, 아무렇지 않을 수 있을까?” 이 질문은 브랜드의 탄생 배경이자, 여전히 그들이 제품을 설계할 때마다 되묻는 중심축이다. Stojo는 ‘습관을 바꾸는 것’에서 시작하지 않았다. 그보다 먼저 ‘버릴 필요 없는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도시 소비의 관성을 설계 단계부터 뒤흔들었다. 접을 수..
보이지 않는 곳까지 닿는 배려, LastObject의 제안 작은 물건에서 시작된 거대한 각성매일 사용하는 것들 중, 가장 자주 손이 가지만 가장 쉽게 버려지는 것들이 있다. 면봉, 화장솜, 티슈. 이 작은 일회용품들은 언제나 욕실의 어딘가에 있고, 무심코 사용된 뒤에는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하지만 이 ‘흔적 없음’은 착각일 뿐이다. 이 작은 제품들은 대부분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있으며, 분해되지 않은 채 바다로 흘러 들어가거나 토양에 쌓인다. 덴마크의 브랜드 LastObject는 바로 이 지점을 문제 삼았다. ‘눈에 띄지 않는 일회용’을 재설계하겠다는 선언은, 그 자체로 강한 메시지였다. 브랜드가 만든 첫 번째 제품은 재사용 가능한 면봉 ‘LastSwab’이었다. 이것은 단순한 대체재가 아니라, 일상 속 습관과 인식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질문이기도 했다. “왜 우..
고체로 전환된 아름다움, HiBAR가 만든 욕실 혁명 익숙한 곡선 안에 숨겨진 낯선 전환미국 미네소타에서 탄생한 HiBAR는 한눈에도 독특하다. 고체 샴푸와 컨디셔너가 병의 곡선을 본뜬 실루엣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디자인은 단순한 심미적 선택이 아니다. 수십 년간 ‘병에 담긴 액체’만이 정답이라 여겨졌던 뷰티 시장에서 HiBAR는 대담한 질문을 던졌다. “정말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병일까, 아니면 그 안의 내용물일까?” 그 대답으로 등장한 고체 바는 기존의 관성을 부드럽게 뒤흔들었다. 병 모양과 닮은 외형은 사용자에게 심리적 낯설음을 줄이면서도, 제품이 담고 있는 새로운 철학을 고스란히 전달하는 기능적 상징이 되었다. HiBAR는 ‘디자인’이라는 언어를 통해 변화의 첫걸음을 우아하게 제안한 셈이다. 욕실에서 사라진 플라스틱의 존재감플라스틱..
지속가능한 청소의 미학, 에버드롭이 남긴 흔적 욕실 선반 위에서 시작된 혁신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욕실과 주방 선반은 알록달록한 플라스틱 병으로 가득해졌다. 세제, 주방세정제, 욕실 클리너까지 각각의 기능을 담은 병들은 매번 버려지기 일쑤였고, 리필 제품조차도 결국엔 또 다른 플라스틱을 만들어냈다. 이처럼 무심하게 반복되던 소비를 멈춰 세운 브랜드가 있었다. 독일 뮌헨에서 탄생한 Everdrop은 그 일상의 풍경을 완전히 바꾸어놓았다. ‘왜 청소는 늘 이렇게 낭비적이어야만 할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한 이 브랜드는, 매일 사용하는 청소 제품에서부터 플라스틱과 불필요한 운송 자원을 줄이는 방식을 고민했다. 결국 그들은 가장 단순하면서도 혁신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바로, 물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물 없는 세제, 새로운 형태의 클린 솔루션Everdrop의 제..